목록과학 (3)
아싸! 생활일지

공유결합이란? 화학결합 일종으로, 전자를 원자들이 공유하였을 때 생성되는 결합입니다. 보통은 비금속 원소끼리의 결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공유결합의 다양한 형태로 단일결합, 이중결합, 삼중결합이 있겠습니다. ex) 서로 다른 비금속끼리-물분자(H2O) 비금속 홑원소- 수소(H2), 질소(N2), 산소(O2) 등 중2 수준에서는 이정도만 아셔도 충분합니다. 공유결합의 수 원자와 원자에 공유하고 있는 전자쌍의 개수 단일결합: 두 원자가 1개의 전자쌍을 공유한 결합 다중결합: 원자와 원자가 공유하고 있는 전자쌍의 개수가 2개 이상 -이중결합: 전자쌍 2개 공유 결합 -삼중결합: 전자쌍 3개 공유 결합

위해성과 유해성의 차이가 뭘까? 두 단어는 비슷해보이지만 약간은 다릅니다. 종종 같은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유해성은 피해 또는 위험의 잠재적인 원인을 말하며, 위해성은 위험에 노출된 결과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말합니다. 좀 더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면, 어떠한 물질이 위험한 독성을 가지고 해가 될 수 있으면 유해성 물질이라고 하고, 그 유해성 물질의 일정량 이상이 해를 준다면 위해성이 될 것입니다. 유해성 물질은 일정량 이상 전에는 해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잠재적으로 위험 물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질의 유해성과 함께 노출가능성을 같이 생각해야 합니다. 위해성 유해성 평가 화학물질을 취급하거나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요즘 날씨가 조금 쌀쌀해졌음에도 모기가 나타나서 우리를 괴롭히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간은 많은 모기로 인해 피해를 입고 죽음에 이르기도 합니다. 모기를 매개로 전염병이 옮겨지기도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말라리아, 일본 뇌염 등이 유명한 예가 되겠습니다. 암컷 모기는 단백질을 동물의 피에서 얻습니다. 모기는 후각이 발달해서 냄새로 찾기 때문에 기피하려면 향수나 땀은 피해야 합니다. 모기는 우리의 피를 먹고 우리는 그 피가 빨린 부위에 가려움증을 느끼게 됩니다. 처음에 물린 직후에는 가려움증을 잘 못 느끼기도 합니다. 모기가 피를 빨아갈 때도 못느끼는데, 이는 모기의 타액 속에 마취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모기 침에 산성성분이 있어서 물리게 되면 피부가 붓고 가려워집니다. 산성성분을 중화하면..